광주대 대학원 합격하는 법
페이지 정보

본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학년도 입학 안내
석사과정 35명 모집에 90명이 응시하여 경쟁률은 2.57: 이고 박사과정은 5명 모집에 19명이 응시하여 3.8:1입니다.
총점은 130점이고, 그중 내신성적 100점, 자격증/경력 등 5점, 면접/구술시험 25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험문제는 누구도 알 수 없지만......예년의 경우에
- 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려고 하는지?
- 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을 선택했는지?
-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 학위를 취득한 후에 향후에 꼭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등을 조리있게 답변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사회복지계의 동향에 대해서도 좀 더 관심을 갖고 공부하면 [사회복지학의 전문적 지식]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고령화, 저출산, 노인장기요양보험,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신 빈곤문제, 자활사업 등등.......사회복지계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지도 묻기도 합니다.
합격자 발표 12월 22일 오후 2시 본교 홈페이지(조금 더 빨리 할 수도 있음)에서 하고, 등록은 2011년 1월 17일부터 21일까지입니다. 합격자가 등록을 하지 않으면 합격은 취소되고, 그 다음 후보자가 합격됩니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이 특별한 이유]
- 충남 이남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입니다.
- 호남에서 유일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입니다.
- 매 학기에 17~18개 전문 강좌가 개설됩니다.
- 대학원 전임교수가 있고,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를 포함하여 18명 이상의 교수진이 있습니다.
- 사회복지학의 기초를 배우고 사회복지사를 취득하는 과정, 사회복지학의 심화과정, 건강가정사를 취득하는 과정 등이 있어서 골라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여성복지, 가족복지, 지역복지, 복지행정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 다른 대학원에는 거의 없는 의료사회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 군사회복지, 사회복지와 인권 등을 심도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 우수한 인재들이 많이 공부하였고, 동문들이 사회복지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있습니다.
- 사회복지라운드테이블을 통해서 매달 사회복지계의 동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석사과정을 마친 사람은 좀더 노력하여 박사과정에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연구과정]
- 내신 성적이 별로 좋지 않고, 경력/자격증도 없는 사람은 ‘연구과정’을 지원하여 1년 동안 연구과정을 마치고, 향후 석사과정에 입학하면 3학기를 더 공부하면 총 5학기만에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매년 경쟁률이 3:1 가량이기에 내신 성적이 별로 좋지 않은 사람은 다음 해에 지원해도 합격할 확률이 낮습니다.
- 연구과정을 원하는 사람은 면접시에 연구과정을 지망하면 됩니다. 연구과정은 1년간 계속 공부해야 하고, 장학규정이 적용되지 않지만 석사과정으로 입학하면 장학규정이 적용됩니다.
[등록금, 장학금, 연구장학생(조교)]
- 학기당 등록금은 석사과정의 경우에 300만원이 조금 넘지만, 본교 출신은 50%, 사회복지시설 등 현장근무자는 40%를 장학금으로 충당됩니다. 장학규정이 겹칠 때에는 본인에게 유리한 규정을 하나 적용받습니다(예, 광주대 졸업생이고 사회복지현장근무자는 50%가 적용).
- 본인이 원하면 연구장학생(조교)가 될 수도 있는데, 조교는 학비를 면제받고 약간의 용돈(교통비 명목)도 지급받습니다. 조교를 지망하는 사람은 면접시에 이야기를 하면 조교 위촉시에 참고합니다. 연구장학생은 매년 1-2명을 모집합니다.
[학점취득/수업]
- 주로 오후 6시 30분에서부터 10시 30분까지 하루에 두 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대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출석하면 됩니다. 주로 월, 화, 수, 목요일에 강의가 있고, 본인이 원하는 수강신청을 하면 됩니다.
- 매 학기 3과목씩 9학점을 취득합니다. 학위논문을 쓰면 3학기 수업+1학기 논문쓰기, 논문을 쓰지 않고 석사학위를 받으려면 마지막 학기에 논문대체과목을 이수하면 됩니다. 논문을 쓰나 쓰지 않으나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박사과정]
- 전반적으로 석사과정과 유사하지만 다음 몇 가지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 매 학기 등록금은 400만원 이상입니다. 박사과정은 첫 학기만 장학금이 있고, 나머지 학기에는 장학금이 별로 없습니다.
- 수업은 석사과정과 합반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주일에 두 번정도 출석하면 됩니다. 주로 야간에 강좌가 진행됩니다.
- 6학기를 등록하여야 수료할 수 있습니다. 7학기 이상을 다닐 수도 있지만, 7학기부터는 추가 등록금을 내야 합니다.
- 졸업논문을 써야 박사학위를 취득합니다. 박사학위는 치밀하게 준비하면 3년만에 취득할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준비하기 나름입니다.
[특별 당부사항]
여러분은 사회복지학에 대한 꿈과 열정만 갖고 오십시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에서 귀하가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2010년12월9일 작성]
석사과정 35명 모집에 90명이 응시하여 경쟁률은 2.57: 이고 박사과정은 5명 모집에 19명이 응시하여 3.8:1입니다.
총점은 130점이고, 그중 내신성적 100점, 자격증/경력 등 5점, 면접/구술시험 25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험문제는 누구도 알 수 없지만......예년의 경우에
- 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려고 하는지?
- 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을 선택했는지?
-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 학위를 취득한 후에 향후에 꼭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등을 조리있게 답변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사회복지계의 동향에 대해서도 좀 더 관심을 갖고 공부하면 [사회복지학의 전문적 지식]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고령화, 저출산, 노인장기요양보험,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신 빈곤문제, 자활사업 등등.......사회복지계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지도 묻기도 합니다.
합격자 발표 12월 22일 오후 2시 본교 홈페이지(조금 더 빨리 할 수도 있음)에서 하고, 등록은 2011년 1월 17일부터 21일까지입니다. 합격자가 등록을 하지 않으면 합격은 취소되고, 그 다음 후보자가 합격됩니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이 특별한 이유]
- 충남 이남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입니다.
- 호남에서 유일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입니다.
- 매 학기에 17~18개 전문 강좌가 개설됩니다.
- 대학원 전임교수가 있고,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를 포함하여 18명 이상의 교수진이 있습니다.
- 사회복지학의 기초를 배우고 사회복지사를 취득하는 과정, 사회복지학의 심화과정, 건강가정사를 취득하는 과정 등이 있어서 골라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여성복지, 가족복지, 지역복지, 복지행정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 다른 대학원에는 거의 없는 의료사회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 군사회복지, 사회복지와 인권 등을 심도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 우수한 인재들이 많이 공부하였고, 동문들이 사회복지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있습니다.
- 사회복지라운드테이블을 통해서 매달 사회복지계의 동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석사과정을 마친 사람은 좀더 노력하여 박사과정에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연구과정]
- 내신 성적이 별로 좋지 않고, 경력/자격증도 없는 사람은 ‘연구과정’을 지원하여 1년 동안 연구과정을 마치고, 향후 석사과정에 입학하면 3학기를 더 공부하면 총 5학기만에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매년 경쟁률이 3:1 가량이기에 내신 성적이 별로 좋지 않은 사람은 다음 해에 지원해도 합격할 확률이 낮습니다.
- 연구과정을 원하는 사람은 면접시에 연구과정을 지망하면 됩니다. 연구과정은 1년간 계속 공부해야 하고, 장학규정이 적용되지 않지만 석사과정으로 입학하면 장학규정이 적용됩니다.
[등록금, 장학금, 연구장학생(조교)]
- 학기당 등록금은 석사과정의 경우에 300만원이 조금 넘지만, 본교 출신은 50%, 사회복지시설 등 현장근무자는 40%를 장학금으로 충당됩니다. 장학규정이 겹칠 때에는 본인에게 유리한 규정을 하나 적용받습니다(예, 광주대 졸업생이고 사회복지현장근무자는 50%가 적용).
- 본인이 원하면 연구장학생(조교)가 될 수도 있는데, 조교는 학비를 면제받고 약간의 용돈(교통비 명목)도 지급받습니다. 조교를 지망하는 사람은 면접시에 이야기를 하면 조교 위촉시에 참고합니다. 연구장학생은 매년 1-2명을 모집합니다.
[학점취득/수업]
- 주로 오후 6시 30분에서부터 10시 30분까지 하루에 두 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대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출석하면 됩니다. 주로 월, 화, 수, 목요일에 강의가 있고, 본인이 원하는 수강신청을 하면 됩니다.
- 매 학기 3과목씩 9학점을 취득합니다. 학위논문을 쓰면 3학기 수업+1학기 논문쓰기, 논문을 쓰지 않고 석사학위를 받으려면 마지막 학기에 논문대체과목을 이수하면 됩니다. 논문을 쓰나 쓰지 않으나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박사과정]
- 전반적으로 석사과정과 유사하지만 다음 몇 가지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 매 학기 등록금은 400만원 이상입니다. 박사과정은 첫 학기만 장학금이 있고, 나머지 학기에는 장학금이 별로 없습니다.
- 수업은 석사과정과 합반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주일에 두 번정도 출석하면 됩니다. 주로 야간에 강좌가 진행됩니다.
- 6학기를 등록하여야 수료할 수 있습니다. 7학기 이상을 다닐 수도 있지만, 7학기부터는 추가 등록금을 내야 합니다.
- 졸업논문을 써야 박사학위를 취득합니다. 박사학위는 치밀하게 준비하면 3년만에 취득할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준비하기 나름입니다.
[특별 당부사항]
여러분은 사회복지학에 대한 꿈과 열정만 갖고 오십시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에서 귀하가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2010년12월9일 작성]
- 이전글컴퓨터자격증 응시료지원 10.11.30
- 다음글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광주전남지부협회 동계 WORKSHOP 10.12.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