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로 , 정보화, 고령화되는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여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복지분야에서 국가의 복지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각종 사회복지기관과 산업체에서 전문 '사회복지사'로서 활동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기른다.
둘째로는, 일상생활을 구성하는 한 분야로서 가정생활전반에서의 현실적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 도구를 완비한 전문인 양성을 지향한다.
셋째로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현을 위한 이론 및 실천적 학문을 탐구한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복지실천의 이론, 방법론 및 각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특히, 지역사회인 광주와 전남지역의 복지욕구를 실용적으로 충족시키고 사회문제를 예방·치료하여 복지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복지전문가를 양성한다.
1) 가정생활의 개별구성요소인 아동과 가족(심리), 가족자원관리와 소비, 주거를 각각 독립적 분야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2) 전체로서의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즉 사회에 대한 가족의 영향과 가족에 대한 사회의 영향 그리고 지역사회 안에서의 가족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도록 한다.
3) 가정생활의 개별구성요소들에 대한 이해와 전체로서의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가족의 복지 및 행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즉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적용하도록 한다.
4)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사회변화에 대한 과학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기른다.
5) 청소년 교육, 성인교육, 노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교수법을 체득한다.
6) 교육프로그램의 기획, 분석, 평가에 관한 실무능력을 습득한다.
7) 관련 사회기관, 사회복지시설, 각종 연수원 및 국가기관과의 산학협동체제를 구축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과 진로지도를 강화한다.
8)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능력을 겸비한 사회복지사를 양성한다. 사회복지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인접 학문을 탐구하여 국제화, 정보화 사회에 맞는 복지전문가로 성장하도록 교육한다.
1)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회변화에 대한 미래지향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기른다.
2) 사회복지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인접 학문을 탐구하여 국제화, 정보화 사회에 맞는 복지전문가로 성장하도록 교육한다.
3) 전체로서의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즉 사회에 대한 가족의 영향과 가족에 대한 사회의 영향 그리고 지역사회 안에서의 가족의 역할과 기능을 통함적으로 사고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4) 가정생활의 개별구성요소인 아동과 가족(심리), 가족자원관리와 소비를 각각 독립적 분야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5)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복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체득한다.
6)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분석, 평가에 관한 실무능력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