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 복지현장실습 계획
페이지 정보

본문
2011년 제1학기 사회복지현장실습 강의계획서
실습은 가급적 2010년 겨울방학중에 하고
수강신청은 2011년 제1학기로 신청하기 바랍니다.
먼저 실습을 하고
학기중에는 실습한 내용을 발표하는 형식입니다.
교수: 이용교
강의목표: 다양한 사회복지현장을 이해한다.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익힌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내용을 기록하고 보고한다.
교재: 이용교 편,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
이용교,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 학현사, 2004.
문형구 외, 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메뉴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
방아골종합사회복지관 연구기획팀,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 인간과복지, 2007.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2008.
주별 강의 내용
제1강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필요성
제2강 사회복지실습기관의 선정
1) 아동복지시설 2) 노인복지시설
3) 장애인복지시설 4) 지역복지시설/사회복지관
5) 청소년복지시설 6) 여성/가족복지시설
7) 병원/정신병원
과제물 1: 내가 ‘특정 현장실습기관’을 선택한 이유(에이포 용지 2매)
제3강 사회복지실습생의 역할과 자세
과제물 2: 사회복지사가 직접 쓴 책을 읽고 보고서 쓰기(에이포 용지 1매)
추천도서는 카페를 통해서 공지할 예정임
제4강 실습계획서의 작성과 실습의 기록
과제물 3: 내가 쓴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안)
제5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1)
제6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2)
제7강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1)
제8강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2)
중간고사 대체용 보고서: 내가 쓴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최종본)
제10강 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매뉴얼
제11강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
제12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발표회
제13강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의 길- 특강
과제물 4: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의 길
(이력서+ 자기소개서를 포함하여)
제14강 사회복지현장의 동향과 취업의 길
사회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관/ 학교 사회복지사
제15강 사회복지현장의 동향과 창업의 길
지역아동센터/ 소규모 노인복지시설
평가: 사회복지현장실습 기관 실습지도자의 평가 50%
담당 교수의 평가 50%(출석 10%+ 보고서 30%+ 발표 10%)
** 강의내용은 실제 현장기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장실습기관은 실습담당교수와 상담을 한 후에
본인이 가장 가고 싶은 기관을 선정하기 바랍니다...
실습은 가급적 방학중에 하고
방학중에 하기 어려운 사람은 학기중 주중이나 주말에 하되
반드시 실습기관과 사전협의하여 할 수 있습니다.
실습은 가급적 2010년 겨울방학중에 하고
수강신청은 2011년 제1학기로 신청하기 바랍니다.
먼저 실습을 하고
학기중에는 실습한 내용을 발표하는 형식입니다.
교수: 이용교
강의목표: 다양한 사회복지현장을 이해한다.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익힌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내용을 기록하고 보고한다.
교재: 이용교 편,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
이용교,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 학현사, 2004.
문형구 외, 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메뉴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
방아골종합사회복지관 연구기획팀,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 인간과복지, 2007.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2008.
주별 강의 내용
제1강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필요성
제2강 사회복지실습기관의 선정
1) 아동복지시설 2) 노인복지시설
3) 장애인복지시설 4) 지역복지시설/사회복지관
5) 청소년복지시설 6) 여성/가족복지시설
7) 병원/정신병원
과제물 1: 내가 ‘특정 현장실습기관’을 선택한 이유(에이포 용지 2매)
제3강 사회복지실습생의 역할과 자세
과제물 2: 사회복지사가 직접 쓴 책을 읽고 보고서 쓰기(에이포 용지 1매)
추천도서는 카페를 통해서 공지할 예정임
제4강 실습계획서의 작성과 실습의 기록
과제물 3: 내가 쓴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안)
제5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1)
제6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2)
제7강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1)
제8강 신명나는 지역복지 만들기(2)
중간고사 대체용 보고서: 내가 쓴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최종본)
제10강 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매뉴얼
제11강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
제12강 사회복지현장실습 발표회
제13강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의 길- 특강
과제물 4: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의 길
(이력서+ 자기소개서를 포함하여)
제14강 사회복지현장의 동향과 취업의 길
사회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관/ 학교 사회복지사
제15강 사회복지현장의 동향과 창업의 길
지역아동센터/ 소규모 노인복지시설
평가: 사회복지현장실습 기관 실습지도자의 평가 50%
담당 교수의 평가 50%(출석 10%+ 보고서 30%+ 발표 10%)
** 강의내용은 실제 현장기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장실습기관은 실습담당교수와 상담을 한 후에
본인이 가장 가고 싶은 기관을 선정하기 바랍니다...
실습은 가급적 방학중에 하고
방학중에 하기 어려운 사람은 학기중 주중이나 주말에 하되
반드시 실습기관과 사전협의하여 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전과 신청하는 법 10.10.11
- 다음글방학중 호주인턴 350만원지원 10.10.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