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부 전체 사이트맵

커뮤니티

모두가 함께 하는 세상, 모두가 꿈꾸는 세상

사회복지학부

공지사항

성적표를 보고 전공 확인하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학부실
댓글 0건 조회 1,173회 작성일 09-02-02 16:53

본문

성적표를 읽고 수강신청을 하는 방법



다음 내용는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학생이 [자유게시판]에 올린 질문입니다.

이것에 대한 답변을 겸해서 여러 학생들을 위하여 이 글을 씁니다.



[질문]

1)교선이 졸업요건이 22학점인데요 21학점이거든요 그러면 3학점짜리 교양을들어야 하나요?

2)사회복지를 전공하고 노인복지를 부전공으로 할껀데요

전공별이수현황을 보면요



전공명 사회복지학   평생교육학    가족복지학    노인복지학

취득학점 36            15             12          39  

졸업요건 72            72              72         72  

이수현황 -36           -57            -60        -33  



이렇게 되있거든요. 이게 무슨뜻인지 모르겠어요ㅜ

평생교육학, 가족복지학, 노인복지학, 사회복지학을 다 72학점 다 들어야 하나요?



[이용교 교수의 답변]



1) 귀하가 2004학년도 이후에 입학한 학생이라면

교양필수 8학점+ 교양선택 22학점=30학점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귀하는 교양필수 8학점과 교양선택 22학점을 포함하여 교양에서 30학점이상을 취득하면 졸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양선택을 21학점이수했다면 1학점, 2학점, 3학점 과목 중에서 어느 것이나 선택하여 공부하면 됩니다. 교양은 최대 51학점까지 수강할 수 있는데, 가급적 30학점 약간 넘게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1학점으로는 [사회봉사]라는 과목이 있습니다.



2)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노인복지학을 부전공하려면 사회복지학전공에서 72학점이상을 취득하고, 노인복지학전공에서 21학점이상을 취득하면 됩니다.

하지만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는 사회복지학전공자가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는 것이 매우 유리합니다. 즉 두 전공을 복수전공하면 사회복지학 51학점이상, 노인복지학 51학점이상을 취득하면 복수전공을 할 수 있습니다. 단일 전공을 할 때보다 특정 전공과목을 많이 이수해아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필수 10과목+선택 4과목이상을 취득하려면 사회복지학전공에서 42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하는데,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등 대부분의 과목은 ‘노인복지학전공’이기도 하기에, 사실 노인복지론, 케어복지론, 노인상담 등 몇가지 과목만 추가로 이수하면 사회복지학전공자가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는 것이 훨씬 쉽습니다.

따라서 사회복지학부 학생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면서,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고, 가족복지학을 복수전공하거나 부전공하는 것이 한 방법입니다.



3) 위의 표에서 사회복지학전공의 취득학점은 36학점이고, 단일 전공으로 사회복지학을 하려면 72학점을 취득해야 하는데 귀하는 36학점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또한 노인복지학을 단일로 전공하려면 이미 39학점을 취득했고 단일 전공을 할 때 33학점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면 각각 51학점만 취득하면 되니까.... 사회복지학에서 15학점, 노인복지학에서 12학점이 부족합니다. 많은 과목이 이중으로 계산되므로 귀하는 5과목만 더 이수해도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할 수 있습니다.



4) 귀하와 같은 경우라면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면서, 무리하게 다른 전공을 복수전공하기보다는 사회복지사 이외에 유망한 법정 자격증인 보육교사, 건강가정사,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사 중에서 마음이 가장 끌리는 자격증을 하나 더 선택하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하면서 여성이나 가족복지에 관심이 있다면 건강가정사란 자격증을 권하고 싶고, 이미 평생교육 관련 과목을 많이 이수했다면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사에 도전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5) 위의 경우가 아니라 사회복지학과 평생교육학을 복수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사회복지사를 기본으로 하면서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를 도전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6) 귀하처럼 매 학기말에 성적표를 떼어보고 자신이 전공할(혹은 복수전공/부전공할) 분야를 점검하면서, 자격증 취득에도 관심을 갖는 것은 성실한 학교생활의 증거입니다. 귀하의 앞날에 행운이 함께 하길 빕니다.



2009년 2월 2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