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제2학기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기본 안내
페이지 정보

본문
질문 1. 누구나 수강신청을 할 수 있습니까?
답 1.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거나 복수전공하려는 사람에게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필수과목"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습은 3학년 2학기 학생부터 신청할 수 있고, 4학년에게 권장되고 있습니다.
질문 2: 2002년도 편입생은 실습을 수강신청할 수 있습니까?
답 2.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편입생은 가급적 사회복지에 관한 기초과목과 다양한 분야를 학습한 후에 4학년 1학기나 2학기에 신청하기 바랍니다. 예전에는 실습과목이 주로 4학년 2학기생에게 권장되었던 과목입니다. 전공에 대한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실습을 가면 본인에게도 별 도움이 안되고, 실습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질문 3: 실습을 언제합니까?
답 3. 이번 실습은 여름방학중(2002년 6월-8월)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2학기 중에 해도 무방합니다.
질문 4. 실습기관을 어떻게 선택합니까?
답 4. 실습기관의 선정은 실습생과 학교의 담당교수(사회복지학부 이용교 교수)가 함께 섭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습생이 실습하고 싶은 기관은 섭외해서 담당교수에게 공문을 요청하거나, 실습기관에서 실습생 파견을 요청할 경우에 관심있는 사람을 보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2학기 실습을 희망하는 학생은 지금부터 실습기관을 탐색하거나 한국복지교육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실습생 모집 공고"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질문 5. 실습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답 5. 실습기간은 한 학기(15주, 주당 1일)를 원칙으로 합니다. 대체로 실습기관에 따라서 3주 내지 4주 동안 실습을 지도하고, 광주대학교는 15일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직장인으로 부득이 15일간 휴가를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담당교수와 협의하여, 학기중 주말에 보충할 수 있는 기관을 섭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6. 자신이 재직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할 수도 있습니까?
답 6.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다양한 경험을 하기 위해서 다른 기관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불가피하다고 생각하는 수강생은 담당교수와 협의하여 결정하기 바랍니다.
질문 7. 언제 실습기관을 선정해야 합니까?
답 7. 2학기 수강과목이지만 사실상 여름방학중에 실습을 하기에, 대부분의 실습기관은 5월 -6월 중에 실습계획을 확정합니다. 서울 등 일부 지역은 5월중에 실습생을 확정짓는 경우가 많고, 다른 지역도 6월중에는 확정을 짓기 때문에 서둘러 주기 바랍니다.
질문 8. 좋은 실습기관을 선정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답 8. 실습은 자원봉사활동이 아니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배우기 위한 교육훈련이므로 사회복지실천을 가장 모범적으로 하는 기관, 어느 정도 규모가 있어서 여러 명의 사회복지사가 일하는 기관, 실습생을 지도할 수 있는 실력있는 실습지도자(사회복지사)가 있는 기관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인가를 받았거나 안 받았거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전국 어디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국의 기관도 좋습니다.
질문 9. 실습을 가기 전에 어떤 준비를 해야 합니까?
답 9. 현장실습을 가기 전에 해당분야에 대한 책을 2~3권 읽고, 특히 그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수기, 자서전, 프로그램 모음집 등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해당기관과 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서 <실습계획서>를 작성하여, 담당교수에게 사전에 제출하기 바랍니다. 계획서에는 해당기관에 대한 간단한 소개, 그 분야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한 독후감을 포함하여 에이포 5매 내외로 제출하기 바랍니다.
질문 10. 실습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누가 부담합니까?
답 10. 일부 실습기관이 적게는 3만원 많게는 10만원내외의 실습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학교에 내는 등록금에 포함된 실습비로는 실습간담회, 실습발표회, 자료집 인쇄비 등으로 쓰고, 담당교수가 실습기관을 방문할 때 교통비와 회의비로 쓰입니다. 따라서, 만약 실습기관이 실습생에게 실습비를 요구할 경우에는 (기관이 이를 후원금으로 처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실습생이 직접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습기관이 실습비를 받는지도 사전에 알아보고 이것이 부담이 되면 실습비를 받지 않는 다른 기관을 선택해도 좋습니다.
질문 11. 3학년 편입생인데요. 여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름방학에 실습을 받고 싶습니다.
답 11. 원칙적으로 3학년 편입생은 4학년 1학기나 2학기에 실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2002년도 편입생은 2003년도 여름방학 때에 실습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어차피 전공과목을 어느 정도 이수한 다음에 실습을 할 것을 다시 한번 권고합니다.
질문 12. 직장인이라 1주일이상 여름휴가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학기중에 하면 안될까요?
답 12. 실습기관과 잘 협의가 되면 여름휴가동안 1주간하고, 학기중에 주말을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기관의 특성(예, 자원봉사센터, 생활시설 등)에 따라서는 학기중에 특정한 날에 오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4학년 2학기에 이수과목이 적은 경우에는 학기중에 특정 요일을 지정해서 실습을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질문 13.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하지 않고 졸업하는 방법은 없습니까?
답 13.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하지 않고도 사회복지학 전공을 졸업하거나 복수전공을 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장실습을 하지 않으면 "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할 수 없습니다.
2002년도 제2학기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강신청하길 희망하는 사람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기 바랍니다.
일시: 2002년 5월 24일 17시(주간반)
2002년 5월 24일 22시 10분(야간반)
장소: 주간반- 사회복지학부 평생교육전공실습실 (인문사회대건물 2층)
야간반- 호심관 801호 강의실
오리엔테이션 때 수강생 준비사항: 자신이 실습하고자 하는 기관을 탐색하여 "기관명칭"을 적어내기 바랍니다.(오리엔테이션 이전이라도, 기관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공문"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실습기관을 정하지 못한 수강생은 본인이 우선적으로 가고 싶은 분야를 적어서 제출하기 바랍니다.
사회복지현장실습 담당교수 이용교
lyg29@hosim.kwangju.ac.kr
답 1.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거나 복수전공하려는 사람에게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필수과목"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습은 3학년 2학기 학생부터 신청할 수 있고, 4학년에게 권장되고 있습니다.
질문 2: 2002년도 편입생은 실습을 수강신청할 수 있습니까?
답 2.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편입생은 가급적 사회복지에 관한 기초과목과 다양한 분야를 학습한 후에 4학년 1학기나 2학기에 신청하기 바랍니다. 예전에는 실습과목이 주로 4학년 2학기생에게 권장되었던 과목입니다. 전공에 대한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실습을 가면 본인에게도 별 도움이 안되고, 실습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질문 3: 실습을 언제합니까?
답 3. 이번 실습은 여름방학중(2002년 6월-8월)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2학기 중에 해도 무방합니다.
질문 4. 실습기관을 어떻게 선택합니까?
답 4. 실습기관의 선정은 실습생과 학교의 담당교수(사회복지학부 이용교 교수)가 함께 섭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습생이 실습하고 싶은 기관은 섭외해서 담당교수에게 공문을 요청하거나, 실습기관에서 실습생 파견을 요청할 경우에 관심있는 사람을 보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2학기 실습을 희망하는 학생은 지금부터 실습기관을 탐색하거나 한국복지교육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실습생 모집 공고"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질문 5. 실습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답 5. 실습기간은 한 학기(15주, 주당 1일)를 원칙으로 합니다. 대체로 실습기관에 따라서 3주 내지 4주 동안 실습을 지도하고, 광주대학교는 15일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직장인으로 부득이 15일간 휴가를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담당교수와 협의하여, 학기중 주말에 보충할 수 있는 기관을 섭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6. 자신이 재직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할 수도 있습니까?
답 6.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다양한 경험을 하기 위해서 다른 기관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불가피하다고 생각하는 수강생은 담당교수와 협의하여 결정하기 바랍니다.
질문 7. 언제 실습기관을 선정해야 합니까?
답 7. 2학기 수강과목이지만 사실상 여름방학중에 실습을 하기에, 대부분의 실습기관은 5월 -6월 중에 실습계획을 확정합니다. 서울 등 일부 지역은 5월중에 실습생을 확정짓는 경우가 많고, 다른 지역도 6월중에는 확정을 짓기 때문에 서둘러 주기 바랍니다.
질문 8. 좋은 실습기관을 선정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답 8. 실습은 자원봉사활동이 아니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배우기 위한 교육훈련이므로 사회복지실천을 가장 모범적으로 하는 기관, 어느 정도 규모가 있어서 여러 명의 사회복지사가 일하는 기관, 실습생을 지도할 수 있는 실력있는 실습지도자(사회복지사)가 있는 기관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인가를 받았거나 안 받았거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전국 어디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국의 기관도 좋습니다.
질문 9. 실습을 가기 전에 어떤 준비를 해야 합니까?
답 9. 현장실습을 가기 전에 해당분야에 대한 책을 2~3권 읽고, 특히 그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수기, 자서전, 프로그램 모음집 등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해당기관과 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서 <실습계획서>를 작성하여, 담당교수에게 사전에 제출하기 바랍니다. 계획서에는 해당기관에 대한 간단한 소개, 그 분야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한 독후감을 포함하여 에이포 5매 내외로 제출하기 바랍니다.
질문 10. 실습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누가 부담합니까?
답 10. 일부 실습기관이 적게는 3만원 많게는 10만원내외의 실습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학교에 내는 등록금에 포함된 실습비로는 실습간담회, 실습발표회, 자료집 인쇄비 등으로 쓰고, 담당교수가 실습기관을 방문할 때 교통비와 회의비로 쓰입니다. 따라서, 만약 실습기관이 실습생에게 실습비를 요구할 경우에는 (기관이 이를 후원금으로 처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실습생이 직접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습기관이 실습비를 받는지도 사전에 알아보고 이것이 부담이 되면 실습비를 받지 않는 다른 기관을 선택해도 좋습니다.
질문 11. 3학년 편입생인데요. 여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름방학에 실습을 받고 싶습니다.
답 11. 원칙적으로 3학년 편입생은 4학년 1학기나 2학기에 실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2002년도 편입생은 2003년도 여름방학 때에 실습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어차피 전공과목을 어느 정도 이수한 다음에 실습을 할 것을 다시 한번 권고합니다.
질문 12. 직장인이라 1주일이상 여름휴가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학기중에 하면 안될까요?
답 12. 실습기관과 잘 협의가 되면 여름휴가동안 1주간하고, 학기중에 주말을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기관의 특성(예, 자원봉사센터, 생활시설 등)에 따라서는 학기중에 특정한 날에 오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4학년 2학기에 이수과목이 적은 경우에는 학기중에 특정 요일을 지정해서 실습을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질문 13.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하지 않고 졸업하는 방법은 없습니까?
답 13.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하지 않고도 사회복지학 전공을 졸업하거나 복수전공을 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장실습을 하지 않으면 "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할 수 없습니다.
2002년도 제2학기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강신청하길 희망하는 사람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기 바랍니다.
일시: 2002년 5월 24일 17시(주간반)
2002년 5월 24일 22시 10분(야간반)
장소: 주간반- 사회복지학부 평생교육전공실습실 (인문사회대건물 2층)
야간반- 호심관 801호 강의실
오리엔테이션 때 수강생 준비사항: 자신이 실습하고자 하는 기관을 탐색하여 "기관명칭"을 적어내기 바랍니다.(오리엔테이션 이전이라도, 기관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공문"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실습기관을 정하지 못한 수강생은 본인이 우선적으로 가고 싶은 분야를 적어서 제출하기 바랍니다.
사회복지현장실습 담당교수 이용교
lyg29@hosim.kwangju.ac.kr
- 이전글제3회 광주사회복지포럼 02.05.17
- 다음글동아리 및 학부(과) 소모임 활성화 지원사업 공고 02.05.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