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부 전체 사이트맵

커뮤니티

모두가 함께 하는 세상, 모두가 꿈꾸는 세상

사회복지학부

자유게시판

광주대 사회복지학부 편입학을 환영하며--수강신청하기 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밝은얼굴
댓글 0건 조회 87회 작성일 25-02-14 15:07

본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편입학을 환영합니다...학교생활의 길잡이

https://cafe.daum.net/ewelfare/24PP/35004







안녕하십니까?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이용교 교수입니다.

여러분의 편입학을 환영하면서, ‘대학생활을 잘 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이 글은 광주대 사회복지학부 3학년 편입생을 염두하고 쓴 글이기에 다른 학교 학생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일부 사항은 해당 학교의 규정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첫째, 한국장학재단에 국가장학금을 무조건 신청하기 바랍니다. 편입생은 신입생과 마찬가지로 첫 학기에는 ‘성적’에 상관이 국가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인정액(미혼은 본인과 부모의 소득과 재산을 보고, 기혼은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과 재산까지 봄)이 약 2억2천만원 이하인 사람은 신청하면 국가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을 신청한다고 다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격이 된 사람도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본인이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 꼭 신청하기 바랍니다. 국가장학금은 다음 학기 시작하기 전에 신청하면 등록금에서 장학금을 빼고 고지서가 발급됩니다.



둘째, 학교 규정 등을 잘 지켜서 4학기 안에 65학점 이상을 취득하고 꼭 졸업하기 바랍니다. 2019학번 이후 편입생은 65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졸업할 수 있고, 교양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학생은 필수과목 10과목과 선택과목 7과목 이상(51학점)을 포함하여 65학점 이상을 취득하기 바랍니다. 매 학기에 17학점 정도를 이수하면 됩니다. 수강신청을 잘 하고 출석, 수업, 과제물 제출, 시험 등에 집중하기 바랍니다. 열심히 공부한 사람은 좋은 학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학부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잘 읽어서 학교 규정에 맞게 미리 미리 준비하기 바랍니다)



셋째, 이왕이면 사회복지학과 노인/장애인복지학 혹은 가족복지학을 복수전공하기 바랍니다. 편입생이 단일 전공을 하려면 45학점 이상을 취득하면 되는데, 사회복지사 취득에 필요한 51학점을 이수하면 사회복지학전공을 취득합니다. 그런데,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고, 몇 과목만 추가로 이수하면 노인/장애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할 수 있습니다. 복수전공을 하려면 각각 30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되는데, 일부 과목(예, 사회복지학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등)은 2중(사회복지학+노인/장애인복지학) 혹은 3중(사회복지학+노인/장애인복지학+가족복지학)으로 계산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를 취득하면서 건강가정사를 취득하려는 사람은 사회복지학전공과 가족복지학전공을 복수전공하면 좋습니다. 가족센터에 취업하거나 여성/가족복지분야로 진출하려면 ‘건강가정사’를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가정사는 사회복지사 처럼 자격증을 발급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가족센터 등에 취업할 때 건강가정사 취득에 필요한 과목을 모두 이수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형식입니다)



넷째,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반드시 취득하고, 사회복지사 1급에도 합격하기 바랍니다. 사회복지사 2급은 과목만 잘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는데, 막상 사회복지시설/기관/단체에 취업하려면 사회복지사 1급이 훨씬 유리합니다. 따라서 열심히 공부하여 4학년 2학기에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꼭 합격하기 바랍니다. 졸업하고 취업한 후에는 다시 공부하기가 쉽지 않기에 학교 다닐 때 조금 열심히 공부하면 사회복지사 1급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중에서 급여가 좋은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를 취득하려면 반드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가져야 하고, 학교사회복지사를 취득할 때에도 사회복지사 1급이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다섯째, 청소년상담사 3급을 취득하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밖지원센터, 청소년쉼터, 교육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나 상담분야 취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졸업예정자 포함)은 누구나 청소년상담사 3급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청소년상담사 3급 시험은 사회복지사 1급만큼 난이도가 있으므로 3급 시험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혹은 상담관련 학과)에서 해당 과목을 이수하면 되고, 내친김에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를 복수전공할 수도 있습니다.



여섯째, 청소년지도사 2급을 취득하려면,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를 복수전공해야 합니다. 청소년지도사는 반드시 ‘청소년지도사 2급 과목’을 전공으로 이수한 사람만 필기시험을 면제받습니다. 예컨대, 청소년복지론을 사회복지학부에서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청소년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할 때에는 인정을 받지 못합니다. 반드시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를 복수 전공하면서, 8과목을 이수하면 청소년지도사 2급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타 학과 과목을 모두 이수하려면 4학기만으로 부족할 수도 있으니, 매 학기 수강신청을 잘하고, 부득이 다 취득하지 못하면 졸업유예하여 취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격증을 하나 더 취득하기 위해 졸업유예를 할 지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 청소년상담사를 취득하고 청소년분야에서 일하면 경력에 의해 청소년지도사에 응시할 수 있는 길도 있습니다(사회복지학부 학생이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까지 복수전공하려면 학기가 더 필요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일곱째, 보육교사를 취득하려면 일부 과목은 사회복지학부에서 이수하고, 더 필요한 과목을 아동학과, 유아교육학과에서 이수할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를 취득하는데 필요한 과목이 17과목인데, 어떤 과목은 사회복지학부에 개설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동학과 혹은 유아교육학과에서 개설된 강좌를 이수하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사의 급여나 근로조건이 보육교사보다 좋은 편이기에 자격증을 여러 개 취득하는 것보다는 본인의 진로가 어린이집의 취업/창업일 때만 취득할 것을 제안드립니다. (1학년부터 입학하면 사회복지사와 보육교사를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는데, 3학년 편입생은 사회복지사를 취득하는 것만도 벅차기에 보육교사까지 4학기에 취득하기는 어렵습니다)



여덟째, 다른 편입생과 활발히 소통하고 ‘편입생 모임’을 만들어 참여하기 바랍니다. 편입생은 신입생과 달리 4학기 안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졸업 학점도 채워야 합니다. 따라서 수강신청을 하거나, 학교생활을 할 때 다른 편입생들과 소통하면 유익한 점이 많습니다. 신입생이나 다른 재학생에게 필요한 정보와, 편입생에게 필요한 정보는 다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편입생들과 모임을 갖고 정보를 공유하기 바랍니다.



아홉째, 소모임이나 동아리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기 바랍니다. 사회복지학부에는 사사모, 다다, 뚜에이오 등 다양한 소모임이 있으니 가입하여 활동하기 바랍니다. 주부라면 주부학생의 모임이 ‘복주머니’도 있으니 관심을 가져보기 바랍니다. 학교 차원의 동아리에도 관심을 갖고 참여하면 좋습니다. 학기초에 학생회관 등에 있는 관심있는 동아리방을 찾아가서 가입의사를 표현하거나 회원인 사람의 소개를 받기 바랍니다.



열째, 비교과활동과 각종 행사에 적극 참여하기 바랍니다. 대학교에는 학점과는 무관하지만 각종 비교과활동이 있습니다. 참여하는 학생에게는 활동비를 지원해주기도 하고, 활동 실적에 따라 포인트(사실상 돈)를 주기도 합니다. 비교과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고, 친구들도 사귈 수 있으니 적극 참여하기 바랍니다. 학교의 많은 정보는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으니 자주 클릭하고, 활용하기 바랍니다.



이용교 교수와 소통하고 싶으면 ‘시민과 함께 꿈꾸는 복지공동체’에 가입하기 바랍니다.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대학생과 사회복지사, 한국인을 포함하여 지구촌 시민 약 5만 명이 회원으로 참여하여 20만 건 이상의 복지정보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이용교 복지상식’ 등 다양한 복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상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ewelfar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