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부 전체 사이트맵

커뮤니티

모두가 함께 하는 세상, 모두가 꿈꾸는 세상

사회복지학부

자유게시판

현장실습 관련 문의와 답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용교 교수
댓글 0건 조회 99회 작성일 22-05-10 18:06

본문

<실습 관련 문의 정리>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그래도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은 부분은
학부실(062-670-2642)로 전화 하시면 됩니다.

1. 학우 본인이 근처 지역, 관심 있는 기관, 분야 등을 토대로 개별 기관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들어가서 실습 모집 공지사항을 확인한다. 만약 공지사항이 없다면 전년도 글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또한, 반드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실습 기관선정현황 엑셀 파일을 참고하여 기관을 알아보셔야 합니다.

2. 후에 기관에 전화하셔서 이번 하계실습 모집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모집한다고 할 때는 홈페이지에 공지글이 언제 올라오고 신청받는지 문의를 하시면 됩니다. 기관마다 하계에 많이 하는 기관, 동계에 많이 하는 기관 등 각기 다르므로 서류 작성 전에 기관과 먼저 전화로 협의를 하셔야 합니다.

3. 원하는 기관이 없거나 실습생 모집을 안 할 때는 인근 지역 혹은 다른 지역(서울, 경기 등) 기관도 적극적으로 알아보셔야 합니다. 만약 계속 찾는 데 없는 경우에는 다음 동계실습 때 실습을 나가시면 됩니다. 다른 지역(서울, 경기 등) 같은 경우에는 모집 규모가 큰 편이니 학우님 본인이 적극적으로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4. 실습 신청서류 기초조사표나 그런 것도 직접 작성해야 하는가?
-모두 다 직접 작성하셔야 합니다. 기관에 전화하셔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생인데 실습 신청서류 작성 중이다. 지도자 급수, 경력 등 적어야 하는데 알려주실 수 있으시나요?’라고 하시면 됩니다. 기관에 전화하실 때 꼭 누구인지를 밝히고 전화해주시길 바랍니다.

5. 실습신청서 지도자 인적사항 적는 칸에 급수, 경력 등 지도자가 기관에서 추후 적겠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가?
-기관실습 담당자와 상의 후 적을 수 있는 사항들은 최대한 적은 후 학부실로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6. 추가로 실습 기관은 주위 선배, 졸업생, 소모임, 학생회 등에 물어보면 더 쉬운 방법이 나오므로 다양한 경로로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실습 기관 선택은 온전히 학우님 선택입니다. 실습은 향후 취업으로도 연결되기도 하므로 좋은 기관에서 하는 게 좋습니다.

7. 실습 신청 전에 기관과 먼저 전화 통화를 하셔야 합니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생인데 이번 하계실습 모집 신청해도 될까요?’라고 먼저 물어보신 후에 기관에서 공문 작성해서 등기로 보내 달라고 하면 그렇게 하겠다고 하시면 됩니다. 만약 기관에서 메일로 선 제출 요구를 하면 학우님이 ‘우리 학교는 교수님들 직인을 학부실에서 받아야 해서 학부실로 실습 신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한 후에 조수와 교수가 서류에 이상이 없는지 검토 후에 공문 작성하여 기관으로 등기를 보냅니다. 그렇게 해도 될까요?’ 말을 하셔야 합니다. 그 후에 기관에서 그렇게 해도 된다고 답이 오면 서류들을 작성하여 학부실로 오시면 됩니다. 만약 계속해서 메일로 선 제출 요구를 하면 그 기관은 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반드시 기관과 협의를 하신 후에 학부실로 제출하셔야 합니다.

8. 실습 기관의 접수 마감 날짜를 꼭 파악하시고 마감 최소한 일주일 전에는 학부실 방문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공문을 금요일에 보내면 토요일에 도착인데 주말에는 기관들이 근무하지 않아 직접 전달이 어려워 금요일에는 공문을 보내지 않습니다. 공문은 평균적으로 일주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기관에서 요청하신 제출기한을 확인하여 늦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문은 반드시 실습 전에 기관에 전달되어야 합니다.

9. 실습 서류는 어디에서 받나요?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꼭 학부 홈페이지 공지사항 글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셔서 정보를 얻길 바랍니다. 실습 신청서류들은 수기, 워드 상관없으나 되도록 워드로 작성해오시길 부탁드립니다.
 
10. 기관에서 직접실습 80시간, 간접실습 40시간(혹은 60시간)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 기관으로 실습을 나가도 될까요?
-안됩니다. 우리 학교는 이번에 간접실습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또한, 간접실습은 코로나로 인해서 부실한 실습 가능성(일부 기관 편법 운영 가능성)이 있으므로, 직접실습으로 160시간(혹은 120시간)을 이수하시길 바랍니다. 현장에서 많은 걸 직접 배우시는 게 좋습니다. 간접실습을 병행하여 이수하시면 당장은 편하겠지만 취업 후 기관에서 직접실습만으로 실습을 이수한 사람들과 할 수 있는 일의 능력치가 비교될 수도 있습니다.

11. 실습생 프로파일 서류에 소속 ‘광주대학교(원)’로 작성하지 않고, ‘광주대학교’로 적어주세요. 또한, 신청인란에 학우 본인 성함을 적으시고 서명도 꼭 해주세요. 실습 기간 날짜도 ‘2021.01~’으로 적어오시는 학우님들이 많습니다. ‘2022.01~’으로 적었는지 꼭 한 번 더 확인해보고 제출해주시길 바랍니다.

12. 이번 하계실습은 ‘2022년 2학기’ 이니 실습 서류를 작성하실 때 ‘2022년 2학기 사회복지현장실습 신청 확인서’를 맞게 작성하셨는지 확인 후 제출해주시길 바랍니다.

13. <중요>
  기관에서 ‘공문을 먼저 보내면 공문과 함께 받은 학우님의 실습 신청서류들을 토대로 면접을 진행된다.’라고 할 때는 ‘우리 학교는 기관과 먼저 협의 후 실습 진행 확정이 나면 그때 공문을 보냅니다. 또한, 공문에는 교수님의 개인정보(개인 연락처, 연구실 연락처 등)가 기재되어있고 학부장님 직인도 찍혀있는 중요한 서류라서 실습 진행 확정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문을 보내드리기 곤란합니다. 먼저 실습 신청서류들을 받기를 원하시면 메일이나 공문을 제외한 실습 신청서류들만 먼저 등기로 보내드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두 방법 중 하나로 진행해도 괜찮을까요?’라고 물어보시면 됩니다.
  만약 메일로 보내라고 하는 경우는 실습 신청서류에 실습 지도 교수님, 학부장 교수님 직인이 필요하니 서류들을 작성 후 학부실로 오셔서 제출해주시면 학부실에서 실습 지도 교수님께 검토 후 직인 찍고 스캔 뜬 후 해당 기관에 메일로 보내겠습니다.
14. 실습일지는 기관에 있는 실습일지를 활용하셔도 됩니다. 만약, 기관에 일지가 없고 학우가 직접 준비해와야 한다고 하면 학부 홈페이지에 있는 실습일지를 내려받아 제본 뜬 후 활용하셔도 됩니다. 또는, 학부실에 실습일지가 준비되어있으니 학부실로 오셔서 가져가셔도 됩니다. 또한, 수기*워드 상관없이 작성하셔도 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실습 후 문의 정리

15. <중요>
 실습 후 제출서류는 양식에 맞게 작성하셔야 합니다. 실무경력증명서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장 귀하’ 문구가 꼭 있어야 합니다. 실습 확인서는 반드시 2021.04.15. 개정판 서류를 활용하셔야 합니다. ‘교육기관 및 세미나 교수’ , ‘실습세미나’ 칸을 제외한 모든 칸을 작성하셔야 합니다. 오픈채팅방에 보낸 ‘현장실습 후 제출서류’ 파일에서 실습 확인서 작성방법을 꼼꼼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실습지도자 선생님의 직인, 서명이 올바르게 되어있는지 실습생이 반드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16. 일지는 실습수업 때 활용할 예정이니 제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 이미 제출하신 학우님은 다시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실습일지는 교수님께서 기말고사 후에 공지를 올릴 예정이오니 그때 학부실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17. 만약, 사전실습을 한 후에 과목 수강을 하는 경우이면 꼭 실습 담당 교수님께 말씀을 드려야 됩니다. 또한, 추후 자격증 발급 때에 자격증 발급 신청서와 함께 실습 공문도 첨부해야 하니 학기가 시작될 때 학부실 실습 담당 조수에게도 알려주셔야 합니다.
ex) 2020년 실습 후 바로 휴학 후 2022년 복학하여 실습과목 수강
>이런 경우를 사전실습이라고 합니다.

실습은 개별적으로 알아보셔야 하고,
본인이 원하는 그곳에서 실습하시는 게 원칙입니다.
그리고 반드시 기관과 먼저 전화로 협의 후에
신청서류를 작성해서 오셔야 합니다.
실습 신청서류는 학부실로 직접 오셔서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