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2학기 수강신청 잘하기
페이지 정보

본문
2008년 2학기 수강신청을 잘 하는 법입니다.
2008학년 2학기에 수강신청을 잘 하려면
두가지를 철저리 분석해야 한다.
하나는 학교의 교칙이다.
다른 하나는 블록시간표이다.
학교의 교칙은 졸업까지 교양, 전공을 몇 학점을 들어야하고 전공/복수전공/부전공은 몇 학점을 들어야 하는지 등을 사전에 잘 파악해야 한다.
쉽게 정리하면
1. 본인이 사회복지학부 학생이라면
- 사회복지학을 전공할 것인지?
-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할 것인지?
- 가족복지학만을 전공할 것인지?
- 평생교육학만을 전공할 것인지?
등을 먼저 생각을 정리해야 한다.
* 어떤 하나의 전공만 하려고 하는지 혹은 두개의 전공을 복수전공하려고 하는지, 하나는 전공 다른 하나는 부전공을 하려고 하는지에 따라 수강신청해야 할 과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2. 어떤 자격증을 취득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그것을 위해서 어떤 과목을 들어야 하는지를
미리 생각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 2급은 기본을 따면서 다른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보육교사, 건강가정사,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사 등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느냐에 따라 수강과목이 달라진다.
3.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학생이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면서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면서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건강가정사 등 국가 자격증을 취득할 계획이라면 그렇게 시간표를 짜면 된다.
* 또한 사회복지사를 취득하고, 청소년지도사를 취득한 후에 청소년상담사에 도전할 수도 있다. 본인이 4년동안 수강신청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장기 설계를 한 후에 2008년 2학기에 수강신청할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일단은 [교과과정조회]를 분석하여...
매 학기에 어떤 과목을 들을 것인지 예상하는 것과 같은
장기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5.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이번 학기에 꼭
수강하고 싶은 과목과 교수님을 선택한다.
같은 과목이라도 시간표가 다르고
해당 과목이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니
대안도 생각해봄이 좋겠다.
- 1학년이라면 교양을 선택한 후에 전공 100단위를 선택한다.
- 2학년이라면 전공 200단위를 선택한 후에 자유선택과목을 고려해본다.
- 3학년이라면 전공 300단위를 선택하면서 전공/부전공, 취득하고 싶은 자격증을 꼼꼼히 살펴본다.
- 4학년이라면 어떤 전공으로 졸업할 것인지, 졸업에 필요한 전공/교양 최소학점은 이수할 수 있는지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6. 교과과정조회를 한 후에
블록시간표를 잘 연구하여 어떤 식으로
짤 것인지를 연구한다.
미리 교과과정과 블록시간표를 출력해서
본인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시간표를
짜고 그 대안도 생각해본다.
- 1안이 안되면 2안을 구상해야 하므로
사전에 꼭 수강할 과목을 중심으로 시간표를 짜본다.
7. 시간표를 짤 때에는
월요일 오전은 피한다,
금요일 오후는 피한다와 같은 외부 요인보다는
가급적 매일 고루 공부를 하고
일주일에 하루 정도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짠다.
8. 함께 수강하고 싶은 친구와 짜는 것도 좋다.
9. 교양은 7월 7일에 신입생, 8일에 재학생이고
경복대 전공은 7월 9일에
입력하고, 가급적 빨리한다.
가급적 빨리 입력하고 혹 입력이 되지 않으면
같은 시간대에 있는 동일 과목이나
다른 시간대에 있는 동일과목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 미리 미리 시간표를 어떻게 짤 것인지를
연구하여 본다.........
2008학년 2학기에 수강신청을 잘 하려면
두가지를 철저리 분석해야 한다.
하나는 학교의 교칙이다.
다른 하나는 블록시간표이다.
학교의 교칙은 졸업까지 교양, 전공을 몇 학점을 들어야하고 전공/복수전공/부전공은 몇 학점을 들어야 하는지 등을 사전에 잘 파악해야 한다.
쉽게 정리하면
1. 본인이 사회복지학부 학생이라면
- 사회복지학을 전공할 것인지?
-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할 것인지?
- 가족복지학만을 전공할 것인지?
- 평생교육학만을 전공할 것인지?
등을 먼저 생각을 정리해야 한다.
* 어떤 하나의 전공만 하려고 하는지 혹은 두개의 전공을 복수전공하려고 하는지, 하나는 전공 다른 하나는 부전공을 하려고 하는지에 따라 수강신청해야 할 과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2. 어떤 자격증을 취득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그것을 위해서 어떤 과목을 들어야 하는지를
미리 생각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 2급은 기본을 따면서 다른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보육교사, 건강가정사,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사 등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느냐에 따라 수강과목이 달라진다.
3.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학생이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면서 노인복지학을 복수전공하면서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건강가정사 등 국가 자격증을 취득할 계획이라면 그렇게 시간표를 짜면 된다.
* 또한 사회복지사를 취득하고, 청소년지도사를 취득한 후에 청소년상담사에 도전할 수도 있다. 본인이 4년동안 수강신청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장기 설계를 한 후에 2008년 2학기에 수강신청할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일단은 [교과과정조회]를 분석하여...
매 학기에 어떤 과목을 들을 것인지 예상하는 것과 같은
장기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5.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이번 학기에 꼭
수강하고 싶은 과목과 교수님을 선택한다.
같은 과목이라도 시간표가 다르고
해당 과목이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니
대안도 생각해봄이 좋겠다.
- 1학년이라면 교양을 선택한 후에 전공 100단위를 선택한다.
- 2학년이라면 전공 200단위를 선택한 후에 자유선택과목을 고려해본다.
- 3학년이라면 전공 300단위를 선택하면서 전공/부전공, 취득하고 싶은 자격증을 꼼꼼히 살펴본다.
- 4학년이라면 어떤 전공으로 졸업할 것인지, 졸업에 필요한 전공/교양 최소학점은 이수할 수 있는지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6. 교과과정조회를 한 후에
블록시간표를 잘 연구하여 어떤 식으로
짤 것인지를 연구한다.
미리 교과과정과 블록시간표를 출력해서
본인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시간표를
짜고 그 대안도 생각해본다.
- 1안이 안되면 2안을 구상해야 하므로
사전에 꼭 수강할 과목을 중심으로 시간표를 짜본다.
7. 시간표를 짤 때에는
월요일 오전은 피한다,
금요일 오후는 피한다와 같은 외부 요인보다는
가급적 매일 고루 공부를 하고
일주일에 하루 정도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짠다.
8. 함께 수강하고 싶은 친구와 짜는 것도 좋다.
9. 교양은 7월 7일에 신입생, 8일에 재학생이고
경복대 전공은 7월 9일에
입력하고, 가급적 빨리한다.
가급적 빨리 입력하고 혹 입력이 되지 않으면
같은 시간대에 있는 동일 과목이나
다른 시간대에 있는 동일과목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 미리 미리 시간표를 어떻게 짤 것인지를
연구하여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