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부 전체 사이트맵

자료실

모두가 함께 하는 세상, 모두가 꿈꾸는 세상

사회복지학부

복지소식

광주대 사회양극화 해소 장학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학부실
댓글 0건 조회 576회 작성일 06-03-15 21:39

본문

• 글쓴이:천세진 • 등록일:06-03-15 • 조회수:35 • 다운수:0









* 광주대학교 사회양극화 해소 장학정책 시행



광주대학교(총장 김혁종)는 3월 13일 오전 9시 교무위원회를 열고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장학금 지원 정책과 '경제.사회.문화적 소외 계층'을 위한 무료 교육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광주대가 도입하는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장학금 지원 정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향학의 열정을 갖고 학업에 정진하고 있는 저소득층 자녀들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생활보호대상자 자녀와 가정의 생계와 학업을 병행하고 있는 소년소녀가정의 가장(家長)을 주 지원 대상으로 하여, 학교에서 정하는 최소한의 학업성취도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등록금의 50~30% 범위내에서 졸업 시까지 장학 혜택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해당 학생이 원하는 경우 대학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근로봉사학생제도, 산업체인턴취업지원제도, 창업지원프로그램 등 각종 장학 및 취업.창업 지원 프로그램에우선적으로 선발 될 수 있도록 하며, 대학에서 장학수혜의 기본 원칙으로 정하고 있는 이중수혜금지 규정을 위 학생들에게는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등록금 이상의 장학혜택 까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이번 2006년 1학기부터 시행될 장학 정책 시행으로 대략 100여명 학생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2억 ~ 2억 5천만 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대학 본부 측은 예상하고 있다.  



광주대학교는 학생들에 대한 장학정책과는 별도로 '경제.사회.문화적 소외 계층'에 대한 무료교육 지원도 시행키로 했다. 광주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이 프로그램은 어려운 형편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사회.문화적으로 소외 받고 있는 시민들이 광주대학교 평생교육원에 개설되어 있는 강좌를 무료로 수강하여 자격증 취득 등 여러 측면에서 도움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소정의 절차를 거쳐 교육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는 시민은 광주대학교에서 지급하는 무료 수강증을 활용하여 원하는 강좌를 수강하게 된다.  

  

광주대학교 김혁종 총장은 이번 결정은 사회 양극화 현상에 대한 각계각층의 우려가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문제 해소를 위해 대학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에 대한 지난 2월부터의 논의 끝에 시행을 결정하였으며, 이번 광주대학교의 정책 시행을 계기로 타 대학 등 교육기관과 민간에서도 동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일보 3월 14일자 기사문 -

광주대, 저소득 학생·시민 지원 강화 / 양극화 해소 장학금 지원·무료수강 혜택

광주대학교(총장 김혁종)는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저소득층 학생과 시민들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광주대는 13일 오전 교무위원회를 열고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장학금 지원’과 ‘경제·사회·문화적 소외계층을 위한 무료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사회 양극화 해소 장학금 지원’은 재학생 중 생활보호 대상자 자녀와 소년·소녀 가장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 학생이 최소한의 학업성취도(기준평점은 미정) 이상을 유지할 경우 등록금의 30∼50%를 졸업 때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광주대는 이와 함께 학생이 원할 경우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로봉사 학생제도(등록금 면제 혜택)와 산업체 인턴취업 지원제도,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에 우선 선발하기로 했다. 특히 이 프로그램 수혜 대상자에게는 ‘장학금 이중수혜 금지 규정’을 적용하지 않기로 해, 등록금 이상의 장학혜택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대학 측은 이번 학기부터 100여 명의 학생을 지원하는데 2억∼2억5천만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광주대는 또 경제·사회·문화적 소외계층에 대한 무료교육 지원책을 마련, 대상자로 선정된 시민들에게 평생교육원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도록 했다.

김혁종 총장은 “사회 양극화 해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 차원의 기여방안을 논의한 끝에 이들 제도를 마련했다”며 “다른 대학 등 교육기관과 민간의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