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농촌복지아카데미를 여느냐고 하면?
페이지 정보

본문
왜, 농촌복지아카데미를 여느냐고 하면?
2004년 7월 22일부터 9월 9일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7시에
한국복지교육원은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와 함께 "농촌복지아카데미"를 개최합니다.
왜, 농촌복지아카데미를 여느냐고 물으신다면?
첫째, 농촌의 복지욕구가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노인은 전체 인구의 약8.5%이지만, 전남의 노인은 14%를 넘은지 오래이고, 곡성군 등 9개군은 이미 20%을 넘어섰습니다. 전남의 농촌은 2030년쯤으로 예측된 "초고령사회"에 이미 도래하였기 때문에 복지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둘째, 농촌복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고령사회에 대비하는 전략으로 "실버타운을 짓겠다"는 정책이 논의되는데, 대도시를 제외한 농어촌은 이미 노인들만 사는데, 어디에 실버타운을 새로 만든다는 말입니까? 기존의 자연마을에서 노인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예컨대, 이동식 노인복지센터)이 구상해야 합니다.
셋째, 농촌은 사회복지사의 새로운 일터이기 때문입니다. 한칠레자유무역협정의 체결로 농어업 환경은 크게 바뀌고, 아울러 "농어촌복지특별법"의 제정으로 농어촌에서 사회복지사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준비된 사회복지사만이 농어촌에서 사회복지사로 일할 수 있습니다.
넷째, 농촌복지는 노인복지를 중심으로 하되, 여성복지, 가족복지, 아동/청소년복지 등을 포함한 통합적 지역복지를 조화롭게 실천해야 합니다. 이미 자활후견기관을 통하여,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 혹은 지역아동센터(공부방)로 농촌복지의 텃밭을 가꾼 선배 사회복지사들로부터 농어촌복지의 이론과 실제를 듣고 농촌복지를 개척하는 방법을 배우려고 합니다.
다섯째, 농촌복지아카데미는 농촌복지에 관심있는 대학생/청년뿐만 아니라, 이미 농촌복지를 실천하는 농촌복지운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공부하고, 네트웍을 형성하는 좋은 계기입니다. 농촌복지아카데미는 농촌복지의 사랑방이 될 것입니다.
바로 이 자리에 귀하를 초대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과 함께 참가하여 주기 바랍니다.
좀더 자세한 일정과 참가방법은 "시민과 함께 꿈꾸는 복지공동체"
http://cafe.daum.net/ewelfare 게시판(농촌복지아카데미)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한국복지교육원을 대표하여 이용교 올림
2004년 7월 22일부터 9월 9일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7시에
한국복지교육원은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와 함께 "농촌복지아카데미"를 개최합니다.
왜, 농촌복지아카데미를 여느냐고 물으신다면?
첫째, 농촌의 복지욕구가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노인은 전체 인구의 약8.5%이지만, 전남의 노인은 14%를 넘은지 오래이고, 곡성군 등 9개군은 이미 20%을 넘어섰습니다. 전남의 농촌은 2030년쯤으로 예측된 "초고령사회"에 이미 도래하였기 때문에 복지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둘째, 농촌복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고령사회에 대비하는 전략으로 "실버타운을 짓겠다"는 정책이 논의되는데, 대도시를 제외한 농어촌은 이미 노인들만 사는데, 어디에 실버타운을 새로 만든다는 말입니까? 기존의 자연마을에서 노인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예컨대, 이동식 노인복지센터)이 구상해야 합니다.
셋째, 농촌은 사회복지사의 새로운 일터이기 때문입니다. 한칠레자유무역협정의 체결로 농어업 환경은 크게 바뀌고, 아울러 "농어촌복지특별법"의 제정으로 농어촌에서 사회복지사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준비된 사회복지사만이 농어촌에서 사회복지사로 일할 수 있습니다.
넷째, 농촌복지는 노인복지를 중심으로 하되, 여성복지, 가족복지, 아동/청소년복지 등을 포함한 통합적 지역복지를 조화롭게 실천해야 합니다. 이미 자활후견기관을 통하여,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 혹은 지역아동센터(공부방)로 농촌복지의 텃밭을 가꾼 선배 사회복지사들로부터 농어촌복지의 이론과 실제를 듣고 농촌복지를 개척하는 방법을 배우려고 합니다.
다섯째, 농촌복지아카데미는 농촌복지에 관심있는 대학생/청년뿐만 아니라, 이미 농촌복지를 실천하는 농촌복지운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공부하고, 네트웍을 형성하는 좋은 계기입니다. 농촌복지아카데미는 농촌복지의 사랑방이 될 것입니다.
바로 이 자리에 귀하를 초대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과 함께 참가하여 주기 바랍니다.
좀더 자세한 일정과 참가방법은 "시민과 함께 꿈꾸는 복지공동체"
http://cafe.daum.net/ewelfare 게시판(농촌복지아카데미)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한국복지교육원을 대표하여 이용교 올림
- 이전글제1회 농촌복지아카데미 참가자 모집 04.06.15
- 다음글자원봉사자 의뢰 04.06.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