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제3회 자립생활 아카데미
페이지 정보

본문
2003년 제3회 자립생활아카데미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통합과 지역사회 지원시스템 구축
-중증장애인당사자와 제3섹터의 역할 설정
목적: 중증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지역사회 기관들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자립생활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며 자립생활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마련되어져야할 사회적 환경 요소들에 관한 이론들을 습득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운동을 펼쳐갈 수 있는 활동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일시:2003년 11.25-12.5 (매주 화, 금) 오후1:00-5:00
장소: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 (광화문 사거리 감리회관16층)
주최: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WILL장애인자립생활센터
기독교대한감리회 선교국
후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참가비: 20,000원 (교재 및 간식 제공)
참가 신청서 접수: 2003년 11월 1일-11월20일 까지
문의: 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www.kucp.or.kr
서울시 광진구 중곡2동 130-12 성현빌딩2층(143-222)
3437-3163 ,3437-2081
E-mail: lsy6914@hanmail.net
담당:이상용(조직선전부장)
조현아(자립생활지원팀 간사)
참 가 인 원: 100명 선착순 마감.
-아카데미 모든 강의 수료후 수료증 발급
개강식 축사 및 연대사
주신기(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회장)
조일묵(한국장애인재활협회 회장)
김진완(서울시장애인복지과 사무관)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표)
유시민(개혁당 국회의원)
신석준(사회당 대표)
주제강연
유흥주(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위원장)
제1강 중증장애인의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강사:박찬형(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과)
제2강 지역사회 복지정책 변화의 필요성
강사: 서울시장애인복지과
제3강 자립생활 운동으로 지역사회 지원을 이끌어 내기
강사:박경석(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 공동대표)
제4강 활동보조인 제도 도입을 통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의식변화는 가능한가?
강사:최용기(한국자립생활네트워크회장)
제5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의 전망과 과제
강사:우주형(나사렛대학 재활학부 교수)
제6강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중증장애인 고용지원 제도
강사:김종인(한국재활과학연구소 소장)
제7강 자립생활 패러다임과 직업재활패러다임의 상호협력 전망
강사:이달엽(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 프로그램 내용
✻ 개강식: 아카데미를 시작하면서 주제 설명 및 교육 전반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 주제강연: 아카데미 전체 주제로 강연.
✻ 제1강의-제7강의: 아카데미 전체 주제를 세분화하여 심도있는 강의를 진행한다.
✻ 종강세미나: 아카데미를 최종 마무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세미나 형식을 빌어 아카데미 전체 내용을 돌아보고 평가하는 자리이다.
✻ 수료식: 수료증 발급과 아카데미 최종 마무리
❐ 자립생활 아카데미 일정
일 정
시 간
내 용
11.25(화)
1:00-2:00
개강식
2:00-2:30
주제강연
유흥주(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위원장)
2:30-3:00
휴식
3:00- 4:00
제1강 중증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강사:박찬형(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과)
11.28(금)
1:00-2:30
제2강 지역사회 복지정책 변화의 필요성
강사: 서울시장애인복지과
2:30-3:00
휴식
3:00-4:30
제3강 자립생활 운동으로 지역사회 지원을 이끌어 내기
강사:박경석(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 공동대표)
12.2(화)
1:00-2:30
제4강 활동보조인 제도 도입을 통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의식변화는 가능한가?
강사:최용기(한국자립생활네트워크 회장)
2:30-3:00
휴식
3:00-4:30
제5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의 전망과 과제
강사:우주형(나사렛대학 재활학부 교수)
12.5(금)
1:00-2:30
제6강 지역사회 주민권 획득을 위한 중증장애인 고용지원 제도
강사:김종인(한국재활과학연구소 소장)
2:30-3:00
휴식
3:00-4:30
제7강 자립생활 패러다임과 직업재활패러다임의 상호협력 전망
강사:이달엽(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4:30-5:30
종강세미나 및 수료식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통합과 지역사회 지원시스템 구축
-중증장애인당사자와 제3섹터의 역할 설정
목적: 중증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지역사회 기관들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자립생활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며 자립생활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마련되어져야할 사회적 환경 요소들에 관한 이론들을 습득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운동을 펼쳐갈 수 있는 활동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일시:2003년 11.25-12.5 (매주 화, 금) 오후1:00-5:00
장소: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 (광화문 사거리 감리회관16층)
주최: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WILL장애인자립생활센터
기독교대한감리회 선교국
후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참가비: 20,000원 (교재 및 간식 제공)
참가 신청서 접수: 2003년 11월 1일-11월20일 까지
문의: 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www.kucp.or.kr
서울시 광진구 중곡2동 130-12 성현빌딩2층(143-222)
3437-3163 ,3437-2081
E-mail: lsy6914@hanmail.net
담당:이상용(조직선전부장)
조현아(자립생활지원팀 간사)
참 가 인 원: 100명 선착순 마감.
-아카데미 모든 강의 수료후 수료증 발급
개강식 축사 및 연대사
주신기(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회장)
조일묵(한국장애인재활협회 회장)
김진완(서울시장애인복지과 사무관)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표)
유시민(개혁당 국회의원)
신석준(사회당 대표)
주제강연
유흥주(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위원장)
제1강 중증장애인의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강사:박찬형(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과)
제2강 지역사회 복지정책 변화의 필요성
강사: 서울시장애인복지과
제3강 자립생활 운동으로 지역사회 지원을 이끌어 내기
강사:박경석(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 공동대표)
제4강 활동보조인 제도 도입을 통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의식변화는 가능한가?
강사:최용기(한국자립생활네트워크회장)
제5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의 전망과 과제
강사:우주형(나사렛대학 재활학부 교수)
제6강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중증장애인 고용지원 제도
강사:김종인(한국재활과학연구소 소장)
제7강 자립생활 패러다임과 직업재활패러다임의 상호협력 전망
강사:이달엽(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 프로그램 내용
✻ 개강식: 아카데미를 시작하면서 주제 설명 및 교육 전반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 주제강연: 아카데미 전체 주제로 강연.
✻ 제1강의-제7강의: 아카데미 전체 주제를 세분화하여 심도있는 강의를 진행한다.
✻ 종강세미나: 아카데미를 최종 마무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세미나 형식을 빌어 아카데미 전체 내용을 돌아보고 평가하는 자리이다.
✻ 수료식: 수료증 발급과 아카데미 최종 마무리
❐ 자립생활 아카데미 일정
일 정
시 간
내 용
11.25(화)
1:00-2:00
개강식
2:00-2:30
주제강연
유흥주(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위원장)
2:30-3:00
휴식
3:00- 4:00
제1강 중증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강사:박찬형(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과)
11.28(금)
1:00-2:30
제2강 지역사회 복지정책 변화의 필요성
강사: 서울시장애인복지과
2:30-3:00
휴식
3:00-4:30
제3강 자립생활 운동으로 지역사회 지원을 이끌어 내기
강사:박경석(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 공동대표)
12.2(화)
1:00-2:30
제4강 활동보조인 제도 도입을 통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의식변화는 가능한가?
강사:최용기(한국자립생활네트워크 회장)
2:30-3:00
휴식
3:00-4:30
제5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의 전망과 과제
강사:우주형(나사렛대학 재활학부 교수)
12.5(금)
1:00-2:30
제6강 지역사회 주민권 획득을 위한 중증장애인 고용지원 제도
강사:김종인(한국재활과학연구소 소장)
2:30-3:00
휴식
3:00-4:30
제7강 자립생활 패러다임과 직업재활패러다임의 상호협력 전망
강사:이달엽(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4:30-5:30
종강세미나 및 수료식
- 이전글2003청소년정책토론회(주 5일 수업 제도의 도입에 따른 청소년 정책의 방향) 03.10.21
- 다음글행복실천 상품권수령 및 장애학우선발안내 재공고 03.10.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