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부 141306 이수진 / 희망지킴이
페이지 정보

본문
사회복지학부 141306 이수진/ 희망지킴이
저는 몇 주간의 자원봉사론 수업 이후 봉사할 기관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노인복지, 청소년복지에 관심을 두고 있었지만 이번 봉사활동기간을 통해서 다른 분야에서도 활동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기관을 확실히 선택하기 전에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 사이트에 들어가 자료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던 중 '꿈을 지켜주는 희망지킴이'라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공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희망지킴이란 아동,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봉사자를 말합니다. 아이들이 건강한 마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희망지킴이가 되고자하는 것은 가치가 있는 봉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망설임 없이 지원하였습니다.
며칠 후에 봉사자 모집을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께서 기관에 한번 방문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는 연락이 오셔서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처음으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방문했을 때 게시판에 써져있던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자'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던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어쩌면 봉사라는 것은 또한 나눔과 같은 것이며 클라이언트와 무언가를 나눌 때 더불어 사는 행복한 사회가 되는 길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기관에 방문하여 담당 선생님께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대한 교육과 아이들에게 알맞은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희망지킴이로서의 교육을 받았습니다. 대체로 여러 프로그램과 희망지킴이의 역할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역할에는 친구 되어주기, 형님 되어주기, 도우미, 프로미, 너나들이, 행복씨앗나누미가 있습니다. 저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여가활동에 함께하여 사회적응 및 기술에 도움을 주는 역할인 너나들이를 맡아 봉사에 참여할 생각입니다.
또 우리가 맡을 아동들이 학령전기 때 겪는 정서적 문제 ADHD에 대해서도 배웠습니다. ADHD란 주의력이 결핍된 아이가 과잉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ADHD가 발생하는 원인, ADHD 진단법, ADHD 치료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ADHD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입니다. 앞으로 내가 도움을 줘야 할 아이들 중에서도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귀 기울여 들었습니다.
이 교육을 토대로 앞으로 토담지역아동센터에서 할 프로그램도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뿐만 아니라 올바른 사회복지사로 한 걸음 더 다가가며 저의 부족함 또한 채울 수 있는 길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몇 주간의 자원봉사론 수업 이후 봉사할 기관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노인복지, 청소년복지에 관심을 두고 있었지만 이번 봉사활동기간을 통해서 다른 분야에서도 활동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기관을 확실히 선택하기 전에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 사이트에 들어가 자료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던 중 '꿈을 지켜주는 희망지킴이'라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공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희망지킴이란 아동,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봉사자를 말합니다. 아이들이 건강한 마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희망지킴이가 되고자하는 것은 가치가 있는 봉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망설임 없이 지원하였습니다.
며칠 후에 봉사자 모집을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께서 기관에 한번 방문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는 연락이 오셔서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처음으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방문했을 때 게시판에 써져있던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자'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던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어쩌면 봉사라는 것은 또한 나눔과 같은 것이며 클라이언트와 무언가를 나눌 때 더불어 사는 행복한 사회가 되는 길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기관에 방문하여 담당 선생님께 광주동구정신보건센터에 대한 교육과 아이들에게 알맞은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희망지킴이로서의 교육을 받았습니다. 대체로 여러 프로그램과 희망지킴이의 역할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역할에는 친구 되어주기, 형님 되어주기, 도우미, 프로미, 너나들이, 행복씨앗나누미가 있습니다. 저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여가활동에 함께하여 사회적응 및 기술에 도움을 주는 역할인 너나들이를 맡아 봉사에 참여할 생각입니다.
또 우리가 맡을 아동들이 학령전기 때 겪는 정서적 문제 ADHD에 대해서도 배웠습니다. ADHD란 주의력이 결핍된 아이가 과잉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ADHD가 발생하는 원인, ADHD 진단법, ADHD 치료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ADHD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입니다. 앞으로 내가 도움을 줘야 할 아이들 중에서도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귀 기울여 들었습니다.
이 교육을 토대로 앞으로 토담지역아동센터에서 할 프로그램도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뿐만 아니라 올바른 사회복지사로 한 걸음 더 다가가며 저의 부족함 또한 채울 수 있는 길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전글경찰법행정학부 147361 이윤석/ 지속적인 봉사 14.05.09
- 다음글사회복지학부 141689 차지혜 / 한걸음 더 나아가기 14.05.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