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서영 이강하 미술관에서 방문객 체온측정 봉사활동
페이지 정보

본문
1. 자원봉사론 이론 학습에서 배운 것
자원봉사는 자신이 원해서 섬기는 일로써 개인, 단체가 지역사회, 국가 및 인류 사회를 위해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건강한 시민들이 좋은 사회를 만드는 동력이고 공동체의 공존과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일시적 활동에서 점차 지속적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고, 시민성, 성장과 변화, 자율과 공평, 개방과 연대를 윤리적 가치로 삼는다. 참고로 자원봉사의 날은 매년 12월 5일이다. 자원봉사의 특성은 자발성, 무보수성, 공익성, 지속성이고, 원칙은 인간존중, 민주주의이고 자원봉사는 그 자체가 목적이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은 자원봉사 활동을 진흥하고 행복한 공동체 건설에 이바지하는 게 목적이다. 국민의 협동적 참여 능력이 필요하고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 비종파성의 원칙이 있다. 자원봉사진흥위원회는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주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중앙행정기관과 민관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활동의 개발, 장려, 연계,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법인 또는 단체이다. 이와 비슷한 자원봉사단체는 자원봉사활동을 주된 사업으로 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 봉사 활동을 한 내역
양3동 행복복지센터 방문객 체온측정 (3시간) + 이강하 미술관 방문객 체온측정 (12시간) +광주공유센터 업무보조 및 환경정리 (9시간) + 동국국민체육센터 방문객 체온측정 (4시간) = 합계 28시간
3. 봉사활동을 통해 배운 내용 및 과목 추천 여부
내 꿈이 의료 사회복지사라 병원에서 봉사하고 싶었지만,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못 한 게 아쉬웠다. 하지만 방문객 체온측정을 해주며 간접적으로나마 내 꿈에 대해 한 발짝 나아간 거 같아 뿌듯했다. 평소 낯가리는 성격을 고치고 싶었는데 처음 보는 사람과 인사, 간단한 담소를 나누며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이 생겼다. 나의 친절한 인사 한 번으로 다른 사람이 미소를 띰으로써 내 마음에도 미소가 폈다. 봉사는 일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서로가 서로에게 행복이 되는 활동인 것 같다. 보통 봉사를 대가 없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지만 난 이렇게 대가가 넘쳐나는 보람찬 활동은 봉사가 유일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봉사가 중요하지 않은 과 학우분들에게도 자원봉사론을 1순위로 추천하고 싶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억에 남는 봉사가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힘든 순간이 닥쳤을 때 내가 남을 도와줬던 경험을 생각하며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구나’라고 생각하며 다시 일어날 수 있고, 반대로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20시간이라는 봉사 시간을 채우는 것은 절대 적은 시간이 아니다. 길다면 길다고 할 수 있는 시간 동안 봉사하며 지구력과 끈기를 키울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봉사를 하기 전에 ‘봉사란 무엇인가?’라는 정의를 곱씹어보며 마음공부도 할 수 있고, ‘나는 누군가를 돕기에 자격이 갖춰진 사람인가?’라는 생각을 해 보며 자아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나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하루 중 소소한 행복이 생기는 것을 보며 자존감도 키울 수 있다. 나는 한 학기 동안 이 과목을 들으며 내면적으로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한다. 내 꿈이 사회복지사가 아니었어도 이 과목을 들었을 것 같다.
4. 향후 봉사활동 계획
한 곳에서 꾸준히 봉사한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에서 조금씩 봉사를 한 것이 아쉬웠고 이 부분에 대해서 보완점을 찾고 자아성찰을 했다. 종강 후 본가로 돌아가 주 1~2회 정도 꾸준히 행복복지센터에서 방문객 체온측정을 할 예정이다. 이뿐만이 아닌 금호종합사회복지관에서 취약 계층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멘토멘티 봉사도 할 것이다. 내 꿈이 의료 사회복지사라고 의료 쪽으로만 치우쳐져 봉사하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에서 봉사하며 내 꿈의 폭을 넓힐 것이다. 개강 후에는 소모임에서 하는 봉사도 정기적으로 나가고 교수님이 알려주신 자원봉사 포털사이트 (1365, VMS)를 유용하게 사용하며 여러 가지 봉사를 찾아볼 것이다. 졸업 전까지 200시간 이상 봉사하는 게 내 목표다.
자원봉사는 자신이 원해서 섬기는 일로써 개인, 단체가 지역사회, 국가 및 인류 사회를 위해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건강한 시민들이 좋은 사회를 만드는 동력이고 공동체의 공존과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일시적 활동에서 점차 지속적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고, 시민성, 성장과 변화, 자율과 공평, 개방과 연대를 윤리적 가치로 삼는다. 참고로 자원봉사의 날은 매년 12월 5일이다. 자원봉사의 특성은 자발성, 무보수성, 공익성, 지속성이고, 원칙은 인간존중, 민주주의이고 자원봉사는 그 자체가 목적이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은 자원봉사 활동을 진흥하고 행복한 공동체 건설에 이바지하는 게 목적이다. 국민의 협동적 참여 능력이 필요하고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 비종파성의 원칙이 있다. 자원봉사진흥위원회는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주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중앙행정기관과 민관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활동의 개발, 장려, 연계,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법인 또는 단체이다. 이와 비슷한 자원봉사단체는 자원봉사활동을 주된 사업으로 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 봉사 활동을 한 내역
양3동 행복복지센터 방문객 체온측정 (3시간) + 이강하 미술관 방문객 체온측정 (12시간) +광주공유센터 업무보조 및 환경정리 (9시간) + 동국국민체육센터 방문객 체온측정 (4시간) = 합계 28시간
3. 봉사활동을 통해 배운 내용 및 과목 추천 여부
내 꿈이 의료 사회복지사라 병원에서 봉사하고 싶었지만,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못 한 게 아쉬웠다. 하지만 방문객 체온측정을 해주며 간접적으로나마 내 꿈에 대해 한 발짝 나아간 거 같아 뿌듯했다. 평소 낯가리는 성격을 고치고 싶었는데 처음 보는 사람과 인사, 간단한 담소를 나누며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이 생겼다. 나의 친절한 인사 한 번으로 다른 사람이 미소를 띰으로써 내 마음에도 미소가 폈다. 봉사는 일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서로가 서로에게 행복이 되는 활동인 것 같다. 보통 봉사를 대가 없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지만 난 이렇게 대가가 넘쳐나는 보람찬 활동은 봉사가 유일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봉사가 중요하지 않은 과 학우분들에게도 자원봉사론을 1순위로 추천하고 싶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억에 남는 봉사가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힘든 순간이 닥쳤을 때 내가 남을 도와줬던 경험을 생각하며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구나’라고 생각하며 다시 일어날 수 있고, 반대로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20시간이라는 봉사 시간을 채우는 것은 절대 적은 시간이 아니다. 길다면 길다고 할 수 있는 시간 동안 봉사하며 지구력과 끈기를 키울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봉사를 하기 전에 ‘봉사란 무엇인가?’라는 정의를 곱씹어보며 마음공부도 할 수 있고, ‘나는 누군가를 돕기에 자격이 갖춰진 사람인가?’라는 생각을 해 보며 자아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나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하루 중 소소한 행복이 생기는 것을 보며 자존감도 키울 수 있다. 나는 한 학기 동안 이 과목을 들으며 내면적으로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한다. 내 꿈이 사회복지사가 아니었어도 이 과목을 들었을 것 같다.
4. 향후 봉사활동 계획
한 곳에서 꾸준히 봉사한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에서 조금씩 봉사를 한 것이 아쉬웠고 이 부분에 대해서 보완점을 찾고 자아성찰을 했다. 종강 후 본가로 돌아가 주 1~2회 정도 꾸준히 행복복지센터에서 방문객 체온측정을 할 예정이다. 이뿐만이 아닌 금호종합사회복지관에서 취약 계층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멘토멘티 봉사도 할 것이다. 내 꿈이 의료 사회복지사라고 의료 쪽으로만 치우쳐져 봉사하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에서 봉사하며 내 꿈의 폭을 넓힐 것이다. 개강 후에는 소모임에서 하는 봉사도 정기적으로 나가고 교수님이 알려주신 자원봉사 포털사이트 (1365, VMS)를 유용하게 사용하며 여러 가지 봉사를 찾아볼 것이다. 졸업 전까지 200시간 이상 봉사하는 게 내 목표다.
- 이전글류영수 온누리텃밭체험농장 봉사활동 22.06.14
- 다음글김다송의 NGO전남지부, 다함께 돌봄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한 이야기 22.06.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