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서비스학과 / 20191470 / 남현지 / 나눔의 즐거움 (1)
페이지 정보

본문
항공서비스학과 / 20191470 / 남현지 / 나눔의 즐거움(1)
저는 ‘아름다운가게 울산 호계점’에서 봉사를 하는 중입니다. 우선 코로나19사태로 정말 많은 봉사기관들이 문을 닫았고 봉사를 할 수 있는 기관을 찾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학기에 자원봉사론을 들으면서 평소 해보지 못하였던 다양한 봉사를 경험해보고자 다짐했었는데 그럴 상황이 되지 않아 많이 아쉬웠습니다. 극한 상황이 조금 진정이 되고나서 기관들이 하나 둘 문을 열었고 저도 제가 할 수 있는 봉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선 아름다운가게가 어떤 기관이고 어떠한 활동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면 의류, 잡화, 가전, 도서 등의 다양한 물품을 기증하고 기증받은 물품들을 분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되 판매하는 기관으로 현재 16개 도시에 110여 개의 나눔 가게가 있고 해외에도 1개의 매장이 함께한다고 합니다. 또, 기증받은 물품 뿐 아니라 아름다운 소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어려움을 겪는 우수한 공익상품들을 발굴하여 판매확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창출된 수익금은 나이가 다 되어 보육원을 나와 자립해야하는 아이들을 지원하는 등 소외이웃을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한 활동 중에서는 기증물품 수령, 매장관리가 있습니다. 우선 기증물품을 수령할 때는 자원봉사자들이 수령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분합니다. 오염물이 묻어있거나 훼손된 물품은 판매할 수 없기 때문에 세세하게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 후 받게 되어있습니다. 기증되는 물품들은 대부분 의류이고 쓰지 않는 가전제품이나 아이들의 장난감이나 도서 등 다양한 물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성인들의 옷 뿐 아니라 아동의 옷도 많이 기증 되고 있었습니다. 물품들을 분류하면서 더 필요로 하는 곳에서 유용하게 쓰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더 정성껏 하게 되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기증해주시는 물품으로 판매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이렇게 많은 기증이 없었다면 기관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기에 기증해주시는 모든 분들의 마음에 감사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매장관리는 자원봉사자들이 주로 하는 활동인데 손님들이 매장을 둘러보며 구경하고 있을 때 흐트러진 물품은 없는지, 물품이 비어있는 곳은 없는지 살펴보고 손님들이 더 편리하게 구경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활동입니다. 매장에 있는 동안 아름다운가게라는 기관에 대한 설명과 사회적으로 어떠한 공헌을 하는지 정기적으로 방송이 되기 때문에 물건을 구매할 때 단순히 필요에 의해 물건을 구입한다는 생각보다 작더라도 어딘가에 쓰일 도움을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더 보람차고 뿌듯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또, 곳곳에 부착되어있는 봉사캠페인이나 저금통처럼 손님들이 봉사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장치가 많아서 눈길이 갔습니다.
저는 이 곳에서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는 ‘아름다운 가게’라는 기관이 봉사기관인 줄도 몰랐고 어떠한 형태로 운영되는지도 몰랐습니다. 하지만 이번 기회로 새로운 형태의 봉사를 배울 수 있었고 수업 과제로 시작하게 된 봉사였지만 과제 이상으로 열심히 하고 진심을 다해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수 있게 해준 활동이었습니다. 앞으로 언제까지 하게 될 줄은 모르겠지만 하는 동안 꾸준하게 성실히 봉사에 임할것입니다.
저는 ‘아름다운가게 울산 호계점’에서 봉사를 하는 중입니다. 우선 코로나19사태로 정말 많은 봉사기관들이 문을 닫았고 봉사를 할 수 있는 기관을 찾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학기에 자원봉사론을 들으면서 평소 해보지 못하였던 다양한 봉사를 경험해보고자 다짐했었는데 그럴 상황이 되지 않아 많이 아쉬웠습니다. 극한 상황이 조금 진정이 되고나서 기관들이 하나 둘 문을 열었고 저도 제가 할 수 있는 봉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선 아름다운가게가 어떤 기관이고 어떠한 활동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면 의류, 잡화, 가전, 도서 등의 다양한 물품을 기증하고 기증받은 물품들을 분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되 판매하는 기관으로 현재 16개 도시에 110여 개의 나눔 가게가 있고 해외에도 1개의 매장이 함께한다고 합니다. 또, 기증받은 물품 뿐 아니라 아름다운 소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어려움을 겪는 우수한 공익상품들을 발굴하여 판매확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창출된 수익금은 나이가 다 되어 보육원을 나와 자립해야하는 아이들을 지원하는 등 소외이웃을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한 활동 중에서는 기증물품 수령, 매장관리가 있습니다. 우선 기증물품을 수령할 때는 자원봉사자들이 수령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분합니다. 오염물이 묻어있거나 훼손된 물품은 판매할 수 없기 때문에 세세하게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 후 받게 되어있습니다. 기증되는 물품들은 대부분 의류이고 쓰지 않는 가전제품이나 아이들의 장난감이나 도서 등 다양한 물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성인들의 옷 뿐 아니라 아동의 옷도 많이 기증 되고 있었습니다. 물품들을 분류하면서 더 필요로 하는 곳에서 유용하게 쓰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더 정성껏 하게 되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기증해주시는 물품으로 판매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이렇게 많은 기증이 없었다면 기관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기에 기증해주시는 모든 분들의 마음에 감사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매장관리는 자원봉사자들이 주로 하는 활동인데 손님들이 매장을 둘러보며 구경하고 있을 때 흐트러진 물품은 없는지, 물품이 비어있는 곳은 없는지 살펴보고 손님들이 더 편리하게 구경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활동입니다. 매장에 있는 동안 아름다운가게라는 기관에 대한 설명과 사회적으로 어떠한 공헌을 하는지 정기적으로 방송이 되기 때문에 물건을 구매할 때 단순히 필요에 의해 물건을 구입한다는 생각보다 작더라도 어딘가에 쓰일 도움을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더 보람차고 뿌듯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또, 곳곳에 부착되어있는 봉사캠페인이나 저금통처럼 손님들이 봉사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장치가 많아서 눈길이 갔습니다.
저는 이 곳에서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는 ‘아름다운 가게’라는 기관이 봉사기관인 줄도 몰랐고 어떠한 형태로 운영되는지도 몰랐습니다. 하지만 이번 기회로 새로운 형태의 봉사를 배울 수 있었고 수업 과제로 시작하게 된 봉사였지만 과제 이상으로 열심히 하고 진심을 다해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수 있게 해준 활동이었습니다. 앞으로 언제까지 하게 될 줄은 모르겠지만 하는 동안 꾸준하게 성실히 봉사에 임할것입니다.
- 이전글호텔관광경영학부/20181358/이미현/성공적이었던 나의 첫 도전 20.06.26
- 다음글유아교육과 / 20201304 / 김민지 / 내게 발전의 발판이 되어준 경험 20.06.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